(...) 일치의 불가능성과 부적합성은 단순히 부정적 개념이 아니라 시간의 통시성 안에 주어진 불일치의 현상 가운데서 의미를 갖는 개념입니다. 시간은 이 불일치가 언제나 있음을, 또한 갈증과 기다림의 관계가 언제나 있음을 뜻합니다. 통시성이 공시성보다 더 많은 것을 의미하고, 가까움이 주어진 사실보다 더 소중하며, 동등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충성이 자기의식보다 더 낫다는 점이 바로 종교의 난점인 동시에 숭고함이지 않겠습니까? 시간은 고립되고 홀로 있는 주체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주체와 타자의 관계 자체임을 보여주는 데 이 강의의 목적이 있습니다. 33p 여기서 함께mit 라는 전치사는 관계를 묘사합니다. 어떤 것 주변에서, 공통의 관계항을 중심으로, 나란히 연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좀 더 정확하게 ..
아무것도 할 일이 없을 때 바로 게임이 우리에게 할 일을 준다. 그래서 우리는 게임을 '오락'이라 하고 삶의 빈틈을 메우는 하찮은 수단으로 여긴다. 그러나 게임은 그보다 훨씬 큰 의미가 있다. 게임은 미래의 실마리다. 어쩌면 지금 진지하게 게임을 발전시키는 것이 우리의 유일한 구원책일지 모른다. -버나드 슈츠(철학자) 게임을 한다는 것은 불필요한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도전하는 행위다. 보통 우리는 게임을 힘든 일로 여기지 않고 '놀이'로즐긴다. 놀이는 일과 정반대의 개념으로 생각하지만 그것은 대단히 큰 착각이다. 놀이 심리학 권위자인 브라이언 서튼스미스의 말을 빌리자면 "놀이의 반대는 일이 아니라 우울함"이다. 임상의학적 정의를 보면 우울증에 걸린 사람은 '비관적 무능력'과 '침체적 활동 ..
https://www.youtube.com/watch?v=pBrpompnJ_M 기타가 좋다. 그런데 무슨 뜻인걸까.번역기를 돌려도 잘 모르겠네 I've got nothing to say to youI've got to look aheadThat love that I once felt for youIs by now as good as deadNo, I'm not fooling anyoneAnd least of all myselfI still believe that you will comeAnd take me back againWhat good is it to comb my hair?It won't be touched by youWhy wake up when you won't be there?Why go ..
지도자. 고위간부는 학살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정당하다'고 확고하게 믿는 사람들이다. 로버트 웨이트는 홀로코스트에도움이 됐던 환경으로 '학살에 대한 대중의 무관심과 선한 영향력을 가진 엘리트들의 침묵'을 꼽는다. 나치 독일 시기 대중의 여론을 연구한 제임스 시한 역시 홀로코스트의 실행에 있어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독일인들의 신뢰와 지원이 아니라 순응'이었다고 밝힌다. 65p 이 글에서는 학살의 실행과 추후 정당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국가의 담론 전략을 확인하기 위한 개념으로 스탠리 코언에 의해 제기된 부인 전략(denial strategy) 을 활용한다. 그에 따르면 국가의 공식 부인 담론은 '전면적 부인' '해석적 부인' '함축적 부인'이라는 형태로 세분화 된다. 전면적 부인: "아무 일도 일..
초예술 물건은 모두 아슬아슬하다. 그 구조가 조금만 빗나가도 평범한 쓰레기, 평범한 장식, 평범한 예술 등 평범하고 당연한 세계에 속하게 되는데 아주 작은 부분이 이유가 되어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아슬아슬하게 초예술로 존재하게 된다. (...) 즉 초예술은 당연한 세계(생산제 사회)에는 속하지 못하는 물건이기에 아무래도 그 발생과 동시에 폐기될 운명에 처한다. 이 버스 정류장 건에서 물건의 아슬아슬함은 부동산적 상태의 아슬아슬함이기도 하다. 89p 옛날에는 오른쪽 전신주를 세웠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오른쪽 전신주가 6분의 1만 남아 있습니다. 게다가 하부에는 튼튼하게 보강까지 되어 있고, 상부에는 벚나무 가지를 자른 뒤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양철 뚜껑까지 덮여 있..
나는 엄마의 옆얼굴을 가만히 바라봤다. 나와 가장 닮은 사람. 내가 나이 들면 저런 얼굴이겠지. 미래를 보고 있는 것만 같았다. 엄마가 눈을 떴다. 우리는 말없이 서로를 바라봤다. 엄마는 나를 보며 과거를 생각할까? 마지막으로 내가 한숨을 쉬면 그건 사랑한다는 뜻이야. 비명을 지르면 그건 사랑한다는 뜻이야. 간신히 내뱉는 그 어떤 단어든 사랑한다는 뜻일 거야. 듣지 못해도 괜찮아. 나는 사랑을 여기 두고 떠날 거야. 같은 말을 어진에게도 했다. 사랑을 두고 갈 수 있어서 나는 정말 자유로울 거야. 사랑은 때로 무거웠어. 그건 나를 지치게 했지. 사랑은 나를 치사하게 만들고, 하찮게 만들고, 세상 가장 초라한 사람으로 만들기도 했어. 하지만 대부분 날들에 나를 살아 있게 했어. 살고 싶게 했지. 최..
음악에서 시간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2가지 요소로 보통 박자와 리듬을 꼽는다. 우선, 박자는 박(beat)이 모인 것인데, '박'은 우리가 노래 부를 때 치는 박수를 생각하면 가장 쉽다. ...노래의 리듬은 길고 짧고 다양한 리듬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박수는 일정한 박에 친다. 벌써 좋아서 기절. '음악에서 시간을 구성하는'박에 대해 이해했습니다. 아하. 리듬이란 뒤에 나오는 음보다 짧냐, 기냐, 같으냐의 음의 상대적 길이의 차이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리듬의 패턴은 속도가 빨라지나 느려지나 그대로다. 여기서 '30밀리세컨드'와 '3초'가 중요한 경계선이다. 사람들은 3초 내에 벌어진 사건들을 하나의 사건으로 인지한다. (...)그래서 프랑스의 심리학자 프레이스는 30밀리세컨드에서 3초 이내..
멜라닌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가장 흔한 유멜라닌은 검은색과 갈색으로 나타나며 피부와 머리카락에서 볼 수 있다. 그보다 적은 페오멜라닌은 노란색에서 빨간색 사이의 색으로 나타나며 머리카락을 붉게 하거나 입술을 분홍빛으로 만든다. 마지막으로 뉴로멜라닌은 인간의 뇌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지만,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151p 수년 동안 멜라닌과 그에 해당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여전히 멜라닌에 관해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우리가 멜라닌은 잘 모르더라도 멜라닌이 미치는 사회적 영향은 확실히 알고 있다. 피부에 유멜라닌이 많을수록 경찰의 손에 목숨을 잃을 가능성이 크다. 151p 모순적으로 뉴로멜라닌은 '지능이 높다'고 알려진 동물에게서만 풍부한데, 나..
아직 아프다. 식은땀을 흘리면서 깬지 벌써 일주일이 되었는데 이유는 아직 알 수없다. 기분 나쁜 상태로 아침에 깨서 출근 하는 일상. 감기라고 하기에 열은 진작에 내려 감기는 목에 안착했다. 따갑게 기침을 하고 사레에 잘 들린다. 잘 들리는 몸은 안타깝다. 수영을 보름만에 나갔다. 선생님을 보면 기분이 좋다. 처음에는 초급반 같은 수영장의 상급반에 실망했지만 체력이 낮아져 그러려니 하게 되었다. 선생님이야말로 기분이 좋지 않았을지도 모르는데 개의치 않고 우리를 가르친다. 애정을 담아 가르친다는 기분이 든다. 특히 나는 지적을 많이 받는다. 어제 들은 것은 자유형과 배영이었다. 자유형을 할 때 어째서 손을 길게 뻗지 않느냐는 것이다. 드릴을 매번 연습하는대도 왼손은 잘 뻗어지지 않는다. 나는 알겠다고 고..
감기다. 거의 열흘째 감기. 아마도 이건 코로나가 분명한데, 그게 아니라면 이렇게 오래 아플수는 없다. 5월 첫주부터 카페에서 이상하게 졸음이 쏟아져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고 하는수 없이 집에 와서 잠을 잤다. 그날 밤부터 근육통이 오는거다. 뼈마디가 아파서 잠을 잘 수 없었고 밤 10시 반에 타이레놀을 먹고 새벽처럼 일어나 또 먹고, 6시간 간격으로 먹고 있는데 타이레놀 용량과 용법을 지켜서가 아니라 6시간 후에 귀신처럼 몸이 아파지기 때문이었다. 그 다음날 출근을 하지 않았어야 했는데 꾸역꾸역 했고 가장 아픈날 출근을 해버렸으니 그보다 몸이 덜 아픈날이라고 출근을 하지 않을수가 없어서 또 꾸역꾸역했다. 무슨 정신으로 출퇴근을 했는지 모르겠다. 아프니까 비로소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아무것도 하지 않..
- Total
- Today
- Yesterday
- 나는 사회인으로 산다
- 책리뷰
- 지킬앤하이드
- 이장욱
- 피터 판과 친구들
- 글렌 굴드 피아노 솔로
- 이문재
- 상견니
- 일상
- 차가운 사탕들
- 진은영
- 이준규
- 배구
- 희지의 세계
- 1월의 산책
- 문태준
- 뮤지컬
- 한강
- 대만
- 네모
- 현대문학
- 김소연
- 서해문집
- 열린책들
- 이병률
- 이영주
- 정읍
- 궁리
- 후마니타스
- 민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