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내내 한 카페로 출근하고 있다. 이곳에는 주말마다 비슷한 사람들이 오는데, 어쩌다 한 번씩은 이 동네 사람이 아닌 손님도 온다. 어떤 가족이 들어왔다. 함께 어디갈 일이 있었던 모양인데, 어째서 이 카페까지 왔는지는 알기 어려웠다. 일부러 이 카페에 들리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동네 근처에서 가족이 어떤 일을 보기에는... 특색이 전혀 없는 곳이었다. 카페도 특징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하여간, 가족은 총 4명이었다. 그중에 나이든 남자는 들어오자마자 우리는 세 잔만 달라며 아무 의자에 앉았다. 방금 밥을 많이 먹고 왔기 때문에 배가 너무 불러. 3잔이면 충분해~ 라고 했다. 그 카페는 과장을 조금 보태서 손바닥 보다 조금 더 컸으므로 곧 카페에 있는 모든 사람이 그들의 점심이 과했음을 ..
보름스는 위니콧의 영향을 받아, 캉길렘의 생명성과 유한성의 양극성에다가 창조와 파괴의 양극성을 추가한다. 보름스는 그의 생기론이 갖는 비판적 특성 때문에 관계를 창조적이거나 지원적인 것으로 보는 만큼 파괴적이거나 지배적인 것으로도 본다. 보름스는 돌봄을 "주체적이고, 나아가 주체성을 창조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이런 관계가 없이 우리는 개인이 될 수 없다)라고 정의한다. 돌봄은 도덕적이면서 사회적인 관계이며, 그렇기에 이미 정치적인 관계이다. 즉 돌봄은 세상과의 관계이고, 똑같이 자연적이면서 문화적이고, 생태적이면서 정치적인 세상에 대한 관심이기도 하다. 그가 돌봄에 대해 발전시킨 사회정치적 사고는 의료 관계나 부모-자식 관계의 틀을 넘어서며, 정의에 관한 새로운 윤리-정치적 성찰을 요청한다. 돌봄은 ..
어제 식당은 무릎께 까지 오는 큰 창이 있어 바깥에 지나는 사람들이 잘 보였고 그들에게 내가 먹는 식사가 잘 보였다. 통창과 인도 사이에 작은 화단이 있어 그곳으로 참새가 자꾸 떨어졌다. 참새는 작은 머리를 갸웃거리며 손톱보다 작은 부리로 화단의 풀과 솔잎 같은 것 사이를 파고들었는데, 그 중에는 제 머리보다 큰 꽃잎을 물고와서 그 안을 쪼았다. 나도 밥 먹고, 너도 밥 먹지. 국수 한 젓가락 먹고 참새를 보고 참새를 보다가 국수 먹었다. 밥먹는 사이 참새가 화단으로 자꾸 떨어졌다. 저것은 이렇게 한 평생 이렇게 부시러기 같은 것을 꼭 한 입씩만 먹고 살아갈 것이다. 그렇게 계속 이어져 왔을 참새의 생활을 잠깐 생각하고 어제는 총파업날이었다. 오후 3시에 명동에서 광화문을 걸었다. 같은 조끼를 입은 사람..
- Total
- Today
- Yesterday
- 열린책들
- 현대문학
- 지킬앤하이드
- 희지의 세계
- 네모
- 이준규
- 민구
- 서해문집
- 대만
- 이영주
- 피터 판과 친구들
- 글렌 굴드 피아노 솔로
- 궁리
- 책리뷰
- 배구
- 차가운 사탕들
- 후마니타스
- 문태준
- 나는 사회인으로 산다
- 일상
- 1월의 산책
- 뮤지컬
- 상견니
- 진은영
- 한강
- 이문재
- 이병률
- 김소연
- 이장욱
- 정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