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존 버거의 글로 쓴 사진
(...) 하나의 사진을 찍는 순간, 당신의 이른바 '결정적 순간'은 계산될 수도, 예고될 수도, 사고될 수도 없는 것입니다. 좋습니다. 하지만 그 순간이란 쉽게 사라지는 것 아닌가요?
물론이죠. 늘 사라져 버리지요. 그가 미소지었다.
그렇다면 일 초의 몇 분의 일인 그 순간을 어떻게 압니까.
데생에 대해 말하고 싶군요. 데생은 명상의 한 형태입니다. 데생하는 동안 우리는 선과 점을 하나하나 그려 나가지만 완성된 전체 모습이 어떤 것일지는 결코 장담할 수 없습니다. 데생이란 언제나 전체의 모습을 향해 나아가는 미완의 여행이지요...
그렇군요, 하지만 사진 찍는 것은 그와는 반대가 아닐까요. 사진은, 찍는 순간, 설혹 그 사진이 어떤 부분들로 이루어지는지조차 모르는 경우에라도, 하나의 전체로서의 순간을 느끼게 됩니다. 제가 묻고 싶은 것은 이렇습니다. 그 순간의 느낌은 선생 자신의 모든 감각이 최대한으로 예민하게 가동된 상태, 다시 말해 일종의 제육의 감각-제삼의 눈이라고 그가 거들었다-으로부터 오나요, 아니면 당신이 마주하고 있는 대상으로부터 오는 메시지인가요?
그는 낄낄 웃으며 -마치 동화 속 토끼가 웃는 것처럼- 무언가를 찾으러 몸을 옮기더니 복사된 종이 한 장을 들고 왔다.
이게 바로 내 답이요. 아인슈타인이 한 말이이죠.
거기에는 자신이 손으로 베껴 쓴 글이 적혀 있었다. 받아서 읽어 보았다. 1944년 10월, 아인슈타인이 물리학자 막스 보른의 아내에게 부친 편지에서 인용한 글이었다. "살아 있는 모든 것들에 대해 내가 느끼는 연대감은 너무도 커서, 한 개인이 어디서 태어나고 어디서 죽는가는 내게 별로 중요치 않습니다...."
p. 65.
존 버거, 김우룡 옮김, 『존 버거의 글로 쓴 사진』, 열화당, 2005년.
카르티에-브레송과의 대화.
글이 이렇게 아름다워야 하는 이유는 뭘까. 손가락이 페이지를 이유없이 오간다. 고를 필요가 없으므로 손가락은 어디든 멈출 수 있다. 읽다가 또 멍하게 생각한다. 왜 이렇게 아름다운걸까. 아름다움을 감탄만하기에 나는 어리지 않아서 이제는 왜 그런지를 생각하는데. 세상이 아름답기 때문에 그것을 받아 쓰는 말이 역시 그렇다라는 생각이 있을 수 있겠고. 세상이 아름답지 않기 때문에 글이 그래야 한다는 말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진부할 따름이다. 진부하기 때문에 둘 중에 무엇을 선택하든, 그 밖에 무엇이든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저 아름다움을 끄덕일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한 일이고, 그 힘이 저 먼 곳에 있는 사람에게 있듯 내게도 있을까를 탐구해 보는 일이 괴로워 의미 있겠지 싶다. 내가 느끼고 싶은 연대는 문장을 제 1시약으로 삼아 수만 색으로 진동할 마음인데, 일을 하니 책을 볼 시간이 없고 책을 보지 않으니 느낄 시간이 없다. 진부한 핑계다. 만나려고 한다면 만나지 못하겠니.
'소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이 긴 나라 (0) | 2014.12.19 |
---|---|
살더미의 치욕 속에 버려져 죽음으로 가듯이 (0) | 2014.11.18 |
미술과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0) | 2014.11.05 |
정부가 생리대를 무료로 배포한다-남자가 월경을 한다면 (2) | 2014.10.27 |
진정한 비극 (0) | 2014.10.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서해문집
- 책리뷰
- 상견니
- 네모
- 희지의 세계
- 문태준
- 한강
- 뮤지컬
- 정읍
- 김소연
- 후마니타스
- 이문재
- 궁리
- 대만
- 지킬앤하이드
- 일상
- 1월의 산책
- 열린책들
- 이준규
- 피터 판과 친구들
- 민구
- 글렌 굴드 피아노 솔로
- 이영주
- 이병률
- 이장욱
- 진은영
- 나는 사회인으로 산다
- 차가운 사탕들
- 배구
- 현대문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